
인공지능(AI) 신약 개발을 위한 국내 연구 경쟁력이 세계 9위 수준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AI 신약 개발 분야 기술경쟁력 및 정부 R&D 투자현황 분석’ 보고서에서 AI 신약 관련 논문, 특허 등 성과를 기반으로 한 국가 순위를 16일 공개했다. 한국은 분야별로 7~9위를 오갔다.
구체적으로 2015년부터 2024년까지 AI 신약 개발 관련 논문의 수를 보면 한국은 총 1016건으로 미국(9094건), 중국(7469건), 인도(3098건) 일본(1121건) 등에 뒤진 9위였다.
논문의 질적 측면을 평가할 수 있는 피인용 수를 기준으로 해도 한국은 9위에 머물렀다. 2015~2024년 한국에서 피인용된 논문 수는 2만2544건으로 1위인 미국(30만8522건)과 비교하면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미국에 더해 중국(12만7223건)과 캐나다(10만7737건)가 10만건을 넘겼다.
다만 논문 상대인용률(RCR) 기준으로는 한국이 세계 7위에 이름 올렸다. RCR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논문 영향력 평가 지표로 한국은 2.20점을 기록했다. 해당 지표의 상위권 국가는 캐나다(5.92), 영국(2.61), 독일(2.60) 등이었다.
보고서는 ‘미국, 중국 등과 비교하면 국내에서는 AI 기반 임상시험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임상 연구의 경우 관련 연구가 아예 부재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허 기반 분석에서도 국내 AI 신약 개발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특허청(USPTO)에 등록된 AI 신약 개발 관련 특허별 피인용 수를 집계해보면 미국(6개), 영국(4개), 스위스(1개)와 달리 한국은 등록 특허가 없다.
그래도 정부 차원에서 AI 신약 개발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반등 기회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 투자가 2022년 451억원에서 지난해 567억원으로 연평균 12.2% 증가했다. 아울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AI 활용 혁신 신약 발굴’ 사업, 과기부 및 보건복지부 주관 ‘연합학습 기반 신약 개발 가속화 프로젝트’와 같은 사업도 추진 중이다.
보고서는 ‘AI 신약 개발과 관련해 글로벌 대비 양적, 질적 격차가 존재한다’며 ‘본격 육성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최적의 육성 방향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