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고위공직자 등 재산공개대상자 2047명의 재산 변동사항(2024년 12월 31일 기준)을 전자관보 누리집을 통해 공개했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들이 지난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재산변동사항 공개목록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대통령실을 포함한 정부 중앙부처와 지방의 고위 공직자 2047명의 평균 재산이 지난해 말 기준 20억631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 사이 1억6213만원 증가한 액수다. 이와 더불어 서울 강남·서초·송파 등 이른바 강남 3구에 주택을 보유한 고위 공직자는 전체의 27%를 차지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7일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자치단체장, 광역의회 의원, 시·도 교육감 등 공개대상자의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 사항을 공개했다.
중앙부처는 장관과 대학 총장 등 838명, 지방자치단체는 광역·기초단체장과 시·도립대 총장 등 1209명이 신고 대상이다.
재산을 공개한 대상자의 70.3%(1440명)는 종전 신고 때보다 재산이 늘었고, 29.7%는 줄었다.
재산 규모별로 보면 20억원 이상이 31.5%(644명), 10억~20억원 29.8%(601명), 5억~10억원 18.2%(373명), 1억~5억원 17.2%(352명), 1억원 미만 3.3%(68명)로 집계됐다.
소유자별로는 본인 10억8952만원(52.8%), 배우자 8억368만원(39.0%), 직계 존·비속 1억6994만원(8.2%)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경우 이번에는 재산 규모를 신고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이 신고 기간에 구속돼 구금 등으로 신고가 어려운 경우에는 유예를 받을 수 있는 조항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윤 대통령은 74억8112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 중 김건희 여사의 재산이 68억4900만원이었다.
내각에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87억39만원을 신고했다. 장관급 중에서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77억3500만원을 신고해 재산이 가장 많았다. 종전 신고액보다 7억3645만원 증가했다.
고위 공직자 838명 중 239명(28%)은 주택을 두 채 이상 보유했다. 주택을 3채 보유한 공직자도 47명이나 됐다.
주택을 가장 많이 보유한 공직자는 4채를 신고한 조상미 보건복지부 중앙사회서비스원 원장과 조성직 국방전직교육원 원장, 이배용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 서보람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추진단장 등 4명이었다.
강남 3구에 주택이 있는 고위 공직자는 228명으로 3명 중 1명 꼴로 나타났다. 대통령실 소속 중에서는 정진석 비서실장(강남구 압구정동 아파트), 김주현 민정수석비서관(서초구 반포동 다세대주택), 최지현 인사비서관(서초구 서초동 아파트) 등이다.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강남구 수서동 아파트),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강남구 압구정동 아파트), 조태열 외교부 장관(서초구 잠원동 아파트) 등도 있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