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서울시가 이틀 전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땅 꺼짐)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함께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꾸려 원인규명에 나선다고 밝혔다.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지하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른 외부 전문가들로 조사위를 구성하기로 했다. 시는 우선 사고 관련 영상과 계측 자료를 최대한 확보해 조사위에 제공할 예정이다.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싱크홀 우려가 높은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도 강화한다. 사고 발생 장소가 지하철 공사장 인근이라는 점을 고려해 도시철도 건설 공사구간 42㎞와 주변 보·차도 20㎞에 대해 전면 조사를 실시한다. 추후 지하 10m 이상 굴착공사가 진행되는 공사장 300여개소 주변 도로에 대해서도 GPR탐사를 강화해 추진한다.
도시철도 건설 공사장 주변 대상지는 총 3곳으로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건설공사(1∼3공구) 24㎞,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1∼4공구) 13㎞, 위례선 도시철도 건설사업 5㎞ 구간이다.
시는 사고 이후 4차례에 걸친 GPR 조사를 통해 사고 주변 지역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했다. 이에 경찰청과 협의해 27일부터 도로 통행을 일부 재개한다. 사고 지점을 제외한 동남로 왕복 6차로 전체와 상암로 왕복 4차로 전체다.
현장 복구는 사고 원인 조사에 지장이 없도록 지하 시설물에 대한 현장 조사 등을 거쳐 계획을 세워 추진한다. 시는 아울러 사고 원인으로 거론되는 상하수도를 포함한 지하 시설물, 지하철 9호선 공사, 토질적 특성, 서울세종고속도로 터널 구간 등에 대해서도 검토할 계획이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앞서 제기된 다양한 문제점을 빠짐없이 깊이 있게 검토하고 시민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객관적인 원인 조사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