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순 한국 수출이 주력 품목인 반도체, 자동차, 선박 등의 호조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 환율 불안 등으로 내년에는 수출 증가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11일 관세청 등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 수출액은 15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4% 늘었다.
품목별로 보면 주력 수출 상품인 반도체(17.7%), 승용차(16.2%)가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수출 증가세를 주도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4%로, 1년 전보다 2.3%포인트 늘어났다. 선박 수출도 8.7% 증가했다. 반면 석유제품(-14.0%), 무선통신기기(-21.1%) 등에서는 감소했다.
주요 수출 대상국 중에서는 미국이 11.6%, 중국은 11.9% 늘었고, 유럽연합(EU)도 10.0% 증가했다. 반면 베트남(-11.5%)과 일본(-11.9%) 등에서는 수출이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170억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8.2% 증가했다. 수입 품목별로는 반도체(16.1%), 반도체 제조장비(59.2%), 기계류(20.1%) 등이 증가했고, 원유(-20.1%)와 가스(-50.3%) 등은 감소했다. 국가별 수입은 중국(19.9%), 유럽연합(54.2%), 미국(25.5%), 일본(4.4%) 등에서 늘었고, 호주(-15.4%) 등에서는 줄었다.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면서 무역수지는 12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한편,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이날 발표한 10대 수출 주력 업종의 매출액 1000대 기업(150개사 응답) 대상 ‘2026년 수출 전망 조사’에 따르면 내년도 수출은 올해보다 0.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수출 증가 전망 업종은 6개 업종으로 증가율은 선박(5.0%), 전기전자(3.1%), 일반기계(2.3%), 바이오헬스(2.1%), 반도체(1.7%), 석유화학(0.7%) 순이었다. 반면 자동차(-3.5%), 철강(-2.3%), 자동차부품(-1.4%), 석유제품(-1.3%) 등 4개 업종은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글로벌 업황 개선에 따른 수요 증가’(33.7%),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한 판로개척’(22.8%), ‘관세 협상 등을 통한 불확실성 완화’(20.7%) 등을 꼽았다.
수출 감소를 전망한 기업들은 '관세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 증가'(67.3%)를 가장 큰 이유로 지목했고 ‘주요 수출 대상국 경기 부진’, ‘중국발 세계시장 공급과잉’, ‘미중 무역갈등 심화’(이상 8.6%)도 수출 감소 원인으로 꼽혔다.
노성우 기자 sungcow@segy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