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절단 사고, 초기 응급처치는 어떻게?

가정에서 요리 중 칼질을 하거나 가구를 손질할 때와 같이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할 경우, 순간의 실수로 손가락을 다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칼에 손가락을 베이거나 절단되는 사고는 흔하게 발생하는 수부 외상이다. 이는 신속한 응급처치와 정밀 수술 여부에 따라 손가락의 기능이 달라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손가락 절단은 단순한 외상이 아니라 뼈, 인대, 힘줄, 신경, 혈관까지 복합적으로 손상되는 수부 외상에 해당한다. 이는 사고 직후 당황하지 않고 올바른 응급처치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후 의료기관에서 수지접합 수술을 통해 손가락 기능을 최대한 복원할 수 있다.

 

사고 직후엔 의료기관을 바로 방문하는 것이 최우선이나, 그전 감염과 조직 손상을 막기 위한 응급처치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먼저 심한 출혈이 발생했다면 깨끗한 거즈나 수건으로 상처 부위를 감싸 지혈해야 하며, 손을 심장보다 높게 고정한다. 절단된 손가락은 젖은 거즈로 감싼 뒤 밀봉 가능한 비닐봉지에 넣고, 얼음주머니 위에 얹어 냉각 보관한다. 단, 절단 부위가 얼음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응급처치가 이뤄졌다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 수지접합 수술을 진행해야 한다. 이 수술은 사고로 절단된 손가락을 재접합 해 혈류를 회복시키고 감각과 움직임을 가능한 수준까지 복원한다. 수술에 앞서 절단부 상태, 외상 후 소요시간 등을 고려하게 된다. 보통 뼈 고정, 힘줄 봉합, 동맥 및 정맥 문합, 신경 봉합, 피부 봉합 등의 과정을 요한다.

 

그러나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났더라도 조기에 재활치료를 시작하지 않으면 손가락 강직, 구축, 운동 기능 제한 등의 영구적 후유증이 남을 수 있어 빠른 재활을 목표로 수술 이후 체계적인 재활 시스템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허재우 강북구 서울현대병원 대표원장(수부외과 세부전문의)은 “손가락은 인체에서 가장 섬세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부위로, 사고 발생 시 당황하지 말고 정확한 응급처치를 통해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수술 이후에는 운동 범위 회복 훈련, 근력 강화 운동, 감각 회복 훈련과 같은 체계적인 재활 치료를 진행해 기능 회복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