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시아플랫폼이 22일 서울 몬드리안 호텔에서 열린 ‘Web3 기후테크 포럼 2025’에서 세계 최초로 ‘Web3 AI Agent Flow’ 기술을 공개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 탄소 배출량 및 감축량 자동 검증 실증 결과도 함께 발표했다.
이번에 공개된 Web3 AI Agent Flow는 기존의 Web2 계정 체계와 Web3 스마트컨트랙트를 연결하는 새로운 신뢰 인프라로 OAuth 2.0/3.0 표준과 영지식증명(ZKP) 기술을 결합해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독립된 계정처럼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이날 이종섭 서울대학교 경영대학교 교수는 ‘Web3 AI Agent Flow는 어떻게 기후위기를 해결하는가’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이 교수는 “탄소상쇄권 인증과 발행부터 디지털 탄소 발자국 제거(Carbon retirement)까지 사람의 개입없이 자동화돼 관리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은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의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라며 “해외에 비해 탄소상쇄권 발행 인프라가 부족한 국내 현실 또한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동기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속가능한 사회적 가치를 전 세계 다향한 이해관계자와 함께 집단적으로 실현하려면, 탈중앙화된 Web3 환경 하에서 자동화된 데이털 추출·저장·관리 시스템 마련이 필수적”이라며 “Web3 AI Agent Flow는 이러한 글로벌 스케일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술적 토대를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시아는 이번 실증에서 기존 ESG 검증 방식의 문제였던 데이터 조작 가능성, 실행 조건의 위변조, 민감 정보 노출 위험 등을 근본적으로 차단했다. 특히 Intel SGX 기반 신뢰 실행 환경(TEE)과 제시아 고유의 퍼셉트론 트리 기반 ZKP 알고리즘을 결합해, AI가 감지한 조건이 조작될 경우 검증 자체가 불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AI 자동 실행이 오직 신뢰 가능한 조건에서만 작동하도록 보장하며 ESG 검증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직접 개발한 Gesia Workflow 인프라를 최초로 현장에 적용하기도 했다. 해당 워크플로우는 ▲기업의 Scope 1, 2, 3 탄소 배출량을 자동 계산하고 ▲AI 기반 감축 시뮬레이션 및 ZKP 조건 검증을 수행한 뒤 ▲조건이 충족되면 NFT 형태의 탄소 크레딧을 자동 발행 ▲크레딧은 GXCE DEX에서 거래되거나 NetZero Wallet에 저장·소각 가능하며 ▲전 과정을 바탕으로 정부 제출용 ESG 보고서가 자동 생성된다. 이 모든 과정은 실시간으로 진행되며 기존 수작업 기반의 탄소 감축 인증보다 빠른 속도와 높은 신뢰도를 보여준다. 자사의 Climo.AI 엔진과 IoT 센서 기반 데이터 수집 시스템, ERC-1155 기반 NFT 발행 기술, GXCE DEX 및 ESG 리포트 자동화 기능을 결합해 완성형 Web3 ESG 인프라를 구현했다.
제시아는 “기업들이 탄소배출 공개를 기피하고 있으며, 감축 활동이 실질적인 인센티브로 정확하게 표기가 어려움도 있다”면서도 “실증 사업의 핵심 목표는 ESG를 달성하는 것이며 두번째는 탄소감축 크레딧의 디지털 자산화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현재 제시아는 탄소크레딧 마켓플레이스 구축을 위한 부산정관에너지, 한국임업진흥원 등과 시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현정민 기자 mine04@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