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SK·현대차·LG, 국내 4대 기업이 최근 3년간 수익이 늘었음에도 직원 고용에는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 인사이트 업체 리더스인덱스는 자산 기준 4대 그룹의 자산총액·매출액·당기순이익과 직원 수 3년 추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4대 그룹의 자산 총액은 2022년(1255조7050억원), 2023년(1360조454억원), 2024년(1444조7580억원)으로 우상향했다.
이는 3년간 15% 증가한 수준이다. 범위를 더 넓혀도 2019년 1000조원 돌파 이후 꾸준한 증가세다. 수익성 면에서도 지난 2년간 매출은 0.5% 증가에 그쳤지만 당기순이익이 30.8% 급증했다.
허나 수익 증가가 고용 확대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4대 그룹 직원 수는 2022년 74만5691명에서 2024년 74만6486명으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
리더스인덱스는 “4대 그룹의 수익 확대와 고용 사이 괴리가 두드러졌다”며 “많이 벌고도 고용에는 인색했다는 평가가 나올 수 있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리더스인덱스는 4대 그룹을 포함한 30대 그룹의 비교분석 결과도 전했다. 전체 자산총액은 2022년(2373조7230억원), 2023년(3074조3200억원), 2024년(2721조9540억원) 널을 뛰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 증가율은 0.8%에 불과했지만 전체 직원수는 140만724명에서 152만4662명으로 8.8%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국내 5~30위 그룹은 회사 수익 규모를 떠나 고용을 늘린 셈이다. 지난해 기준 30대 그룹 내 4대 그룹의 자산 비중은 53.1%를 차지한 점을 고려하면 4대 그룹의 고용 측면에서 인색함이 더욱 두드러진다.
한편 자산총액 1위는 삼성이었다. 자산이 21.1% 늘고 당기순이익도 11.5% 증가하며 전체 그룹 내 당기순이익 비중을 35.5%에서 39.3%로 끌어올렸다. 매출은 4.6% 줄었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