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재생의료 플랫폼 기업 서울예스바이오가 서울예스바이오, 시지바이오(CGBIO)와 ‘첨단재생의료 및 헬스케어 분야의 공동 연구개발과 사업화를 위한 3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서울예스바이오는 일본 재생의료기관과의 꾸준한 교류를 통해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제,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자가면역세포치료제, 항암 NK 세포치료제 등을 연구개발하는 첨단재생의료 전문기업이다. 개정된 첨단재생바이오법에 따라 서울예스병원과 공동으로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및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세 기관은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공동 연구 및 기술개발은 물론, 치료기술의 검증과 상용화까지 이어지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예스바이오는 첨단재생의료 치료제의 연구개발과 임상연구를 기획하고, 서울예스병원은 실질적인 의료 현장에서의 임상연구 수행을 담당하며, 시지바이오는 연구개발(R&D)에 필요한 제도적·행정적 지원과 제품화, 글로벌 진출 전략을 총괄하며 세 기관을 아우르는 기획·운영 조직인 MSO(Management Service Organization)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서울예스병원과 시지바이오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구성된 재생의료 플랫폼을 시지바이오가 운영중인 인도네시아 발리 소재 병원에 적용, 실제적인 재생의료 사업화 모델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이번 3자간 협약은 그 동안 바이오기업에게 가장 어려웠던 임상치료기관에의 접근도를 높여 연구진과 의료진 간의 실질적인 소통과 적극적인 협력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기존 협약들이 실질적인 진행 없이 종료됐던 것과 달리 국내 협약 사례 중 드문 실제적 실행 사례로 평가된다. 이를 통해 K바이오의 글로벌 재생의료 산업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길용 서울예스병원 대표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한국에서 첨단 재생의료법이 시행되었으나 오랜 기간의 규제로 인해 재생의료 자체를 경험조차 하지 못한 의료기관이 대부분으로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이라고 밝혔다.
이어 “서울예스병원과 서울예스바이오는 오랜기간 일본의 재생의료기관과 교류하면서 축적한 다양한 임상경험과 즉시 현장에 적용가능한 연구진과 연구개발역량을 갖추고 있다”며 “이러한 연구개발역량을 시지바이오의 다양한 바이오 융복합 의료기기와 접목하여 첨단재생의학을 실제적으로 현장에 적용하는 플랫폼을 상용화해 한국 재생의료 산업을 글로벌 선도 산업으로 발돋움하는 초석을 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