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가계 빚 1929조원 ‘역대 최대’...토허제 여파는 2분기까지 예상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사진=뉴시스

1분기에도 가계 빚이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파는 2분기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21일 한국은행이 지난 20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신용 잠정치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28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1925조9000억원)보다 2조8000억원이 늘어난 수치로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지난해 1분기 3조1000억원 줄어들었던 가계 빚은 지난해 2분기(13조4000억원)와 3분기(18조5000억원)를 거치면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에도 11조6000억원이 늘어난 바 있다. 올해 1분기에는 증가 폭이 전 분기보다 축소했지만 증가세는 이어지고 있다.

 

가계신용에서 판매신용을 뺀 가계대출을 살펴보면 1분기 말 잔액은 1810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1805조5000억원)보다 4조7000억원이 늘어났다.

 

가계대출 중에서는 주택담보대출이 전 분기보다 9조7000억원 늘어났다. 주담대는 연말·연초 주택거래 둔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 폭이 축소됐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예금은행은 주담대를 중심으로 8조4000억원이 늘며 증가 폭이 확대됐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1조원이 늘며 전 분기보다 증가 폭이 축소됐다. 기타금융기관 등은 주택도시기금 기금재원 및 주택금융공사 정책모기지양도분 순상환 등의 영향으로 4조7000억원이 줄며 감소 폭이 확대됐다.

 

신용카드 이용규모 축소 등의 영향을 받아 판매신용은 전 분기보다 1조9000억원 감소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2~3월 늘어난 주택 거래가 1~3개월 시차를 두고 주택담보대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5~6월 주담대가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지만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으로 하반기 안정될 것”이라고 짚었다.

 

최정서 기자 adien10@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