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12·3 비상계엄과 관련 사과의 뜻을 내비쳤다. 이를 두고 중도 확장에 시동을 걸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 후보가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유감의 뜻을 밝히며 입장 변화를 시사했다. 다만 후보 측은 “직접적인 사과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며 강성 지지층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13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브리핑에서 “최근 계엄 사태로 국민들이 고통받고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 대해, 김 후보가 공식적으로 유감을 표명했다”며 “이러한 기조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는 하루 전 진행된 채널A 인터뷰에서도 “계엄으로 인해 국민들께서 겪은 고통에 대해 진심으로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과거 “계엄은 잘못됐다”, “국무회의에 참석했더라면 반대했을 것”이라고 했던 입장에서 한발 더 나아간 표현이다.
그러나 김 후보 캠프는 이를 계엄에 대한 직접적인 사과로 받아들이는 해석에는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강성 지지층의 이탈을 우려해, 명확한 사과 대신 유감 표명 수준으로 발언 수위를 조절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행보는 중도층 표심을 겨냥한 전략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계엄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중도 유권자들이 대선 승패의 캐스팅보터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김 후보가 입장 선회를 통해 중도 확장에 나섰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김 후보의 유감 표명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와의 연대를 위한 정치적 신호라는 해석도 나온다. 김 후보는 경선 과정부터 반(反)이재명 빅텐트 구성을 강조해 왔지만, 한덕수 전 총리와의 단일화 마찰, 후보 교체 논란 등으로 연대 구상은 동력을 잃은 상태다.
이준석 후보 역시 여러 차례 “계엄을 옹호한 세력과는 손잡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김 후보가 계엄에 대한 태도를 다소 완화한 것은 이준석 후보와의 대화 재개를 염두에 둔 전략적 포석일 수 있다는 관측이다.
김행 김문수 캠프 시민사회총괄단장은 BBS 라디오에서 “빅텐트를 친다면 목적은 반이재명 연대에 있다”며 “그 연대 상대로 저희가 가장 절실하게 원하는 분은 역시 이준석 전 대표”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