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업계가 자산 건전성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올해 1조원 이상의 부실자산을 정리하고 부실채권(NPL) 관리회사를 설립해 건전성 관리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12일 금융투자협회 정보공개 플랫폼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금융권에서 매각을 추진 중인 부동산 PF 사업장은 396개(금융권 익스포져 6조5000억원)로 전월보다 12개 증가했다. 지난 1월에는 195개였지만 2월(369개) 174개 사업장이 폭증했고 지난달까지 오름세가 이어졌다.
지난달 369개 중 저축은행이 대리금융기관으로 등재된 사업장은 124개로 전체의 31.3%에 달한다. 대리금융기관은 PF 사업장에서 대주단을 대표하는 금융회사로 통상 가장 많은 금액을 대출해준 기관이 맡는다.
이런 흐름이 이어지면서 금융당국은 최근 올 상반기 내에 부동산 PF 부실자산을 정리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이행되지 않을 경우 해당 기관과 임직원에 대한 제재를 부과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부실자산을 정리하기 위한 저축은행업계의 발걸음도 분주해지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다음 달 초를 목표로 4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공동펀드 조성할 계획이다. 중앙회는 앞서 세 차례 공동펀드를 조성한 바 있다. 지난해 1월 1차(330억원)를 시작으로 지난해 6월 2차(5000억원), 올해 3월 3차(2000억원)를 통해 부실자산을 정리했다. 중앙회는 올해 총 1조원 이상의 부실자산을 처리할 방침이다.
다만, 부동산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목표액을 밑돌 수 있다고 우려한다. 지난 3월에 실시한 3차 공동펀드 역시 5000억원을 목표로 했으나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로 2000억원 수준에 그친 바 있다.
이와 함께 중앙회 NPL 자회사 설립도 추진 중이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NPL 자회사는 설립을 발표한 바 있다. NPL사는 상호금융권에서 운영되고 있다. 은행연합회가 설립한 유암코를 비롯해 신협의 KCU NPL대부와 새마을금고 MCI 대부 등이 대표적이다.

NPL 자회사는 당초 상반기 출범을 목표로 잡았지만 다음 달 조기 대선이 열리게 되면서 미뤄졌다. 더불어 자본금 1000억원을 목표로 삼은 만큼 79개 개별 저축은행들의 출자 방식도 논의될 필요가 있다. 최근 불황이 이어지면서 자본 출자에 부담을 느끼는 목소리도 있다. 또한, 대형 저축은행 중에서는 NPL 자회사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는 곳도 있어 중앙회 차원의 NPL 자회사 설립에 적극적이지 않을 수 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중앙회 차원에서 부실 PF 정리는 계속해서 해오고 있다. 6월 초에 진행할 4차 펀드는 규모를 키울 것으로 보인다”면서 “NPL 자회사는 중앙회에서 최초로 자회사를 차리는 것이기 때문에 9월 설립을 목표로 원활하게 논의가 진행 중이다”고 설명했다.
최정서 기자 adien10@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