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유급·제적 의대생, 구제 방법 없어"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 참석해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 우원식 국회의장 등과 함께 합장하고 있다. 뉴시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 조처가 없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이주호 권한대행은 5일 ‘2025학년도 의과대학 학사에 관해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제목의 서한문을 내어 이같이 전했다.

 

그는 “일부 의대 학생들 사이에서 잘못된 주장이 유포되고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며 “개별 대학이 대규모로 유급 또는 제적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설령 유급 또는 제적이 되더라도 학생들이 복귀를 희망할 경우 학사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복귀가 가능하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대학별 유급 및 제적 대상자를 취합하고 있다. 4월 30일 기준 조사이지만 교육부 제출 기한은 오는 7일까지로 아직 이틀 남은 상황이다.

 

이 권한대행은 “정부는 학생 복귀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최우선에 두고 의대 교육을 책임지는 총장님들과 학장님들의 뜻을 존중해 지난 4월 17일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조정했다”며 “이후 정부와 대학은 학생들이 학교로 복귀할 수 있는 기회를 계속해 제공해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더 이상 교육과정 정상화를 미룰 수 없기에 4월 30일을 기준으로 복귀를 다시 한번 요청했고 이 시점까지도 복귀하지 않는다면 학칙에 따라 유급 또는 제적이 확정되며 이를 구제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는 점을 말씀드렸다”고 했다.

 

이 권한대행은 “정부는 40개 의과대학에 5월 7일까지 수업 참여 결과를 확정해 교육부로 제출해 줄 것을 요청했고 각 대학은 5월 7일까지 유급과 제적 대상을 확정해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행은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되거나 취소되지 않으며 추가적인 학사유연화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고 말했다.

 

그는 “수업에 복귀해 학업을 이어가고 있는 학생 여러분은 정부와 대학을 믿고 학업에 전념해 주시기 바란다”며 “아직 복귀를 망설이는 학생 여러분은 확인되지 않은 소문에 기대어 의료인으로서의 소중한 미래를 걸지 않기를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