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국 최태원 SK그룹 회장에게까지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의 불똥이 튀게 됐다. 또 국민 여론이 심상치 않자 정치권에서도 대책 마련과 함께 당을 가리지 않고 강도높은 비판을 내놓기 시작했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1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SK텔레콤의 유심 정보 해킹 사건 대응과 관련해 “이 정도로 큰 사고를 내고 이 정도로 부실하게 대응하는 기업이라면 당장 문을 닫아도 이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같은 당 ‘SKT 소비자 권익 및 개인정보 TF’ 위원장인 김희정 의원은 이날 역시 국회에서 열린 이번 사태 관련 긴급 간담회를 마친 뒤 “유심보호 서비스 가입이 힘든 분들이 있다”며 “T월드 매장 방문이 어려운 장애인이나 노령계층 등 통신 취약계층에 대해 SKT가 일괄적으로 유심보호서비스 서비스에 가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오는 8일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을 다루는 청문회를 별도로 개최하기로 하면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이상중 한국인터넷진흥원장 등 7명과 함께 증인으로 체택했다. 과방위는 전날 방송·통신 분야 청문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SK텔레콤 해킹 관련 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의 건, SK텔레콤 해킹 관련 청문회 증인 참고인 출석 요구의 건 등 안건을 상정·가결했다. 방송·통신 청문회에서 SK텔레콤 해킹 사건을 함께 다루다가, 이를 분리해 추가로 청문회를 열기로 한 것이다.
특히 최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한 이유는 해킹 사태로 SK텔레콤 가입을 해지하려는 소비자들을 위한 위약금 면제 확답을 받기 위해서다. 전날 청문회에서 과방위원들은 SK텔레콤 이용약관을 언급하며 회사 측 귀책 사유가 발생하면 가입자들이 번호이동 시 위약금 의무가 면제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유 사장은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하겠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정부 측에서 국회에 출석한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회사 귀책사유에 따른 위약금 면제 가능성에 대해 “법률 검토 중에 있다”고 답변했다. 최 회장은 전날 청문회에 증인으로 채택됐으나 치과 진료로 휴식이 필요하다며 출석하지 않았다.
과방위는 SK텔레콤의 귀책 사유가 분명함에도 유 사장과 강 차관의 답변이 미흡하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이에 상급자인 최 회장과 유 장관의 증인 출석 의결로 이어졌다.
이화연 기자 hyle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