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 해킹에…SKT 가입자 이탈 러시?

가입자 유심(USIM) 정보를 탈취당한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28일 서울 시내 한 SKT 직영점에서 시민들이 유심 교체를 위해 줄을 서 차례로 SKT 직원에게 번호표를 받고 있다. 사진=김두홍 기자 kimdh@sportsworldi.com

 

이동통신 3사 가운데 가입자 수 1위를 달리는 SK텔레콤(SKT)의 해킹 사고 이후 급속히 가입자 유출이 이뤄지고 있다.

 

2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26일 SKT 가입자 1665명이 탈퇴하고 타 통신사로 이동했다. KT로 1280명, LG유플러스가 385명이다. 여기에 알뜰폰 통신사로 이동한 이들까지 합하면 이보다 이탈자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SKT의 해킹 사건 이후 대처 미흡이 가입자 유출에 한몫했다. ‘탈SKT’ 현상은 대부분의 SKT 가입자가 제때 새로운 유심칩을 공급받지 못하면서 차라리 이동통신사 교체를 선택하는 것이 빠르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가입자 유심(USIM) 정보를 탈취당한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28일 서울 시내 한 SKT 직영점에서 시민들이 유심 교체를 위해 줄을 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김두홍 기자 kimdh@sportsworldi.com

 

통신사 입장에서 가입자 수는 곧 돈이다. 따라서 SKT는 가입자 수 유지를 위해 타 통신사에서 자사로 이동하는 고객에게 고액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최신폰인 갤럭시 S25 기본 모델은 타 통신사에서 SKT로 현금 완납 기준 번호이동 시 5만원대에 구매 가능하다.

 

이러한 SKT의 행태 역시 도마 위에 올랐다. 기존 고객을 위한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보다 판매를 위한 유심 사용을 독려했다는 내용이 알려지면서 비판을 피해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통사 업계 1위인 SKT가 자리보전을 위해 기존 고객을 보호한다는 느낌보다는 고객 수에만 연연하고 있다는 분위기가 역력하다”며 “고객을 아침 일찍부터 줄 세우기하고 새 유심칩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점만 봐도 1위의 품격을 스스로 무너뜨린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

사진=김두홍 기자 kimdh@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