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NOW] 자동차 품목관세 영향…미국업체까지 타격 전망

경기도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추진 중인 품목별 관세로 국내 자동차 기업뿐만 아니라 미국 업체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가 21일 공개한 ‘미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232조 관세 조치 주요 내용과 영향’ 보고서에는 “미국 자동차 기업 역시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수많은 부품으로 이뤄진 자동차의 복잡한 제조 공정에 따라 여러 국가를 오가야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에서 인용한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 따르면 북미 3국(미국∙캐나다∙멕시코)의 자동차 공급망은 상호 긴밀히 연결돼 있으며 여러 가지 부품들이 완성차가 되기까지 평균 7∼8차례 국경을 넘는 수순을 거쳐야 한다. 국경을 넘을 때마다 관세가 붙기 때문에 다중 관세가 현실화되면서 결과적으로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밖에 없다. 

 

결국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가 자기 발등을 찍는 자충수가 될 것이라는 진단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에 대해 25% 품목 관세를 부과한 상태이며 자동차부품에 대한 품목 관세는 다음 달 3일부터 발효된다. 

 

하지만 당장 상황 변화는 없을 전망이다. 미국은 국가별 협상과 무관하게 품목별 관세를 인하 또는 면제할 가능성이 작다는 게 무역협회의 분석이다. 따라서 한국 자동차 관련 기업뿐만 아니라 북미 공급망을 이용하는 미국 자동차기업에도 당장의 수익 악화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내 자동차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관세 부과 결정을 내린 것이지만 최종 조립을 미국에서 진행하면 생산 가격이 올라가 결국 소비자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이러한 관세 부과 결정 때문에 미국 자동차업체들까지 자칫 곤경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향후 관세 조정이 어떻게 이뤄질지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