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난시 등으로 시력교정술을 받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수술 기법도 날로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인 시력교정술인 라식의 경우, 과거에는 수술용 칼을 사용해 각막을 물리적으로 절삭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지만 요즘에는 레이저 기술이 발달해 수술의 모든 과정에서 레이저만 사용하는 '올레이저 라식'이 등장, 더욱 정교한 시력교정이 가능해졌다.
라식은 각막을 절삭하여 각막 절편을 만드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라섹에 비해 통증이 적고 수술 후 회복 속도도 빠른 편이지만, 각막을 절삭하는 부위가 라섹에 비해 깊어 고도근시이거나 각막 두께가 얇은 사람에게는 적용하기 어려웠다. 각막을 지나치게 많이 절삭하면 잔여 각막량이 부족해져 원추각막증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술이 잘 진행된 후에도 외부 충격을 받으면 각막 절편이 떨어지거나 밀릴 수 있어, 직업상 몸을 많이 쓰고 충격을 많이 받는 사람들이 받기 어려웠다.

하지만 올레이저 라식은 기존 라식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더 다양한 사람들이 라식 수술을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는 게 문자윤 SNU청안과 원장의 설명이다.
문 원장은 “모든 과정을 레이저로 진행하기 때문에 각막을 한층 균일하고 일관되게 절삭할 수 있어 시력교정술의 만족도가 높다”며 “불필요한 각막 손상이나 자극을 줄이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도 적어진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올레이저라식은 각막의 불필요한 손상이 적고, 빠른 조사 속도로 열에 의한 각막 손상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장비에 환자의 눈 움직임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 수술 중 발생하는 눈 떨림이나 안구 회전을 즉시 반영해 보정할 수 있다. 환자가 갑자기 눈을 움직여도 안정적인 수술이 가능하며, 그만큼 수술 결과를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올레이저 라식에도 주의할 점이 있다. 이 수술은 여전히 각막 절편을 만드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술 후 눈에 충격이 가해지면 절편이 밀리거나 떨어질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수술을 고려할 때에는 환자의 직업, 연령, 취미 등 개인적인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수술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또한, 각막 상태와 함께 안구 건강 상태를 세밀하게 검사하여 최상의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자윤 원장은 "올레이저 라식은 진화한 레이저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라식에 비해 정확도나 안정성이 개선된 방식이지만, 단순히 기술의 발전이 더 나은 수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수술을 진행하는 집도의의 실력도 중요하고, 환자의 눈 상태나 라이프 스타일이 라식과 적합한지 미리 확인해야 한다. 섣불리 수술 여부를 결정하지 말고, 충분한 상담과 검사를 통해 가장 적합한 방식의 수술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