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전기차로 돌아온 레전드 車...첫 전기픽업 무쏘 EV 마침내 출시

5일 KGM 평택 본사 신차발표회장에 전시된 무쏘 EV. 이정인 기자

’추억의 명차’ 무쏘가 전기차(EV)로 돌아왔다. 국내 픽업트럭 시장에 새 바람을 일으킬 국내 최초 전기 픽업트럭 무쏘 EV가 5일 공식 출시됐다. 

 

KG모빌리티(KGM)는 이날 경기 평택 본사에서 픽업 통합 브랜드 무쏘의 전략 발표와 무쏘 EV 출시를 알리는 신차발표회를 개최했다. 

 

KGM은 이날 브랜드 전략 발표에서 픽업 브랜드 무쏘 론칭을 알렸다. 시대를 대표하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무쏘(1993년 출시) 정신과 국내 최초의 레저용 픽업 무쏘 스포츠(2002년 출시)의 헤리티지를 잇는 통합 브랜드 론칭을 통해 KGM 픽업의 정통성을 유지하면서도 실용적인 방식으로 더욱 차별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박경준 KGM 국내사업본부장은 “KGM은 국내 픽업 시장을 개척하고 이끌어온 기업이다. KGM 픽업의 시작은 무쏘다. 4세대에 걸쳐 픽업의 대중화 이끌어 왔다”며 “이제 픽업은 단순한 업무용 차량이 아닌 라이프스타일 수단이 됐다. KGM은 무쏘 통합 픽업 브랜드로 픽업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자 한다”고 밝혔다. 

무쏘 EV. KGM 제공

KGM은 무쏘의 첫 번째 라인업 무쏘 EV를 전기 SUV에 픽업 스타일링을 더한 신개념 차량으로 소개했다. 무쏘 EV는 도심형 전기 픽업을 표방한다. 전기차의 경제성, 픽업의 다용도성, SUV의 편안함을 두루 갖춰 레저 활동뿐만 아니라 도심 주행 등 일상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라는 게 KGM 측 설명이다. 

 

무쏘 EV는 80.6kWh 용량의 리튬인산철(LFP) 블레이드 배터리를 탑재해 공기저항을 많이 받는 픽업 특유의 구조에도 1회 충전 주행거리 400km 및 복합 전비 4.2km/kWh(2WD, 17인치 힐 기준)를 달성했다. 또 셀투팩(Cell to Pack) 공법을 사용해 단위 면적당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하고, 외부 충격에 강한 배터리팩 설계로 내구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KGM은 배터리 화재를 우려해 전기차 구입을 망설이는 소비자들을 위해  전기차 배터리로 인한 화재 시 최대 5억원을 보상하는 KGM 전기차 배터리 안심 보장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아울러 차세대 다중 배터리 안전 관리 시스템(BMS)을 적용했다. 

 

무쏘 EV는 152.2kW 전륜 구동 모터와 최적의 토크 튜닝이 적용된 감속기를 통해 최고출력 207마력(ps)과 최대 토크 34kgf·m의 파워풀한 동력성능을 발휘하며 5월 출시 예정인 사륜구동(AWD) 모델은 최고출력 413마력(ps)과 최대토크 64.9kgf·m의 다이나믹한 주행성능을 제공한다. AWD 모델은 네 바퀴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다양한 노면 조건에서도 최적의 퍼포먼스를 발휘한다. 

무쏘 EV 데크. 이정인 기자

픽업의 다용도성과 SUV의 공간성도 갖췄다. 무쏘 EV의 데크는 500㎏까지 적재할 수 있고 데크 탑, 롤 바, 데크 슬라이딩 커버가 새롭게 적용됐다. 각종 패키지를 통한 맞춤형 스타일링도 가능하다.

무쏘 EV 2열 공간. 이정인 기자

2열 좌석은 슬라이딩, 리클라이닝 기능과 함께 머리 공간 1천2㎜, 커플 디스턴스(1·2열 힙 포인트 간 거리) 850㎜로 중형 SUV 수준의 공간성을 갖췄다.

무쏘 EV 전면부. 이정인 기자

외관은 편리하면서도 튼튼하다는 뜻의 '핸디 앤 터프' 콘셉트를 기반으로 디자인됐다. 전면부에선 선명한 후드 라인과 검은색 그릴이 강인한 인상을 주고 측·후면부에선 보디와 데크가 하나로 연결되는 등 일상과 야외를 아우르려는 균형감이 강조됐다.

 

KGM이 특히 강조한 건 경제성이다. 무쏘 EV는 '친환경 화물차'로 분류돼 사용자의 경제성을 극대화한다고 설명했다. 전기 승용차보다 많은 국고·지자체 보조금을 받아 서울시 보조금(약 800만원 초반대) 적용 시 MX가 약 3000만원 후반대, 블랙엣지가 약 4000만원대 초반으로 예상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박경준 본부장은 “보조금 적용 시 경쟁사 내연기관 픽업(기아 타스만)과 비슷한 가격대에 구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소상공인은 추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KGM에 따르면 구입가격 혜택과 연료비를 합하면 5년간 소상공인 기준으로 1400만원을 절감할 수 있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