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갈아타기 플랫폼, 연말부터 주담대·전세대출로 확대된다

대환대출 인프라 대상 범위 확대 추진
3개월 반 새 1.6조 대출 이동 이뤄져
금리경쟁 통해 소비자 편익 제고 전망

주담대·전세대출 대상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 전후 비교_금융위원회 제공

 

지난 5월 말 신용대출을 대상으로 우선 도입된 대환대출 인프라가 이르면 연말부터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등으로 확대된다. 대출금액이 큰 아파트 주담대, 서민·무주택자의 이용이 많은 전세대출까지도 손쉽게 기존 대출을 갈아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금융권 내 경쟁 촉진으로 대출자들의 실질적 금리 인하 혜택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주담대·전세대출 대상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방안’에 따르면 금융위는 주담대를 대상으로 대출비교 플랫폼 19개사(잠정)와 금융회사 32개사(잠정)가 참여하는 온라인 대환대출 시장 조성을 추진한다. 대상 대출은 아파트 주담대를 비롯해 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SGI서울보증보험 등 주요 보증기관의 상환보증 전세대출이다.

 

대환 절차를 간소화해 금융소비자의 실질적 금리 인하 혜택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앞서 금융당국과 금융권은 지난 5월 31일 신용대출을 대상으로 대환대출 인프라를 공식 도입했다. 지난 15일까지 총 6만7384건의 대출이동이 이뤄졌다. 대출 이동금액은 1조5849억원이었다. 금융위는 대환대출 인프라 도입에 따른 연간 총 이자절감액이 약 300억원 이상, 평균 금리하락 폭은 1.5%포인트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앞으로 금융회사 간 금융소비자의 기존 대출정보를 주고받고, 대출금 입금 등 상환 절차를 중계하는 대출이동중계시스템을 구축해 금융사고 우려 없이 신규 금융회사가 기존 대출을 상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차주 입장에선 주담대·전세대출을 대환대출하는 모든 과정에서 영업점 방문없이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대출을 찾아 대출을 갈아탈 수 있게 된다. 대환대출을 신청하고 신규대출 실행 즉시 대출이동이 완료된다는 점에서 종전 대환대출 과정상의 핵심 불편이 사라질 것으로 금융위는 보고 있다. 다만 주담대·전세대출에 대한 대환대출은 서류 검증을 위한 약 2∼7일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신용대출이 소득, 신용등급 등을 중심으로 자동화된 심사가 이뤄지는 것과 다른 점이다. 주담대·전세대출 특성상 금융회사 직원이 직접 주택시세, 임대차계약, 보증요건, 대출규제 등 관련서류 등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주담대·전세대출 대상 대환대출 인프라는 연내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라면서 “금융회사별 전산시스템 개발 진행상황 등을 고려해 1월부터 아파트 주담대, 전세대출 순으로 대국민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대환대출 인프라 대상이 확대되면서 가계대출 시장의 지각변동도 예상된다. 신용대출에 견줘 주담대 시장의 규모가 월등히 크기 때문이다. 결국 차주들을 대상으로 얼마나 경쟁력 있는 금리를 제공하느냐가 핵심 차별화 포인트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대환대출 플랫폼 출범 초기 주요 금융회사들은 금리 우대를 비롯해 첫 달 대출이자 지원 및 금융쿠폰 지원 등의 혜택을 제공하며 신규 고객 확보 및 기존 고객 붙잡기에 나선 바 있다.

 

과도한 금리 경쟁으로  가계부채가 급증할 우려는 없을까. 금융당국은 부채 총량이 늘어나지 않을 거라고 강조했다. 아파트·전세대출 대상 대환대출 인프라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비율을 초과하는 차주는 이용할 수 없도록 했기 때문이다.


오현승 기자 hsoh@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