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비즈=유은정 기자] #. 차를 몰고 출근하던 A씨는 초등학교 앞을 지나던 중 갑작스레 튀어나온 초등학생 B군을 미처 피하지 못하고 충돌했고 아이가 넘어지게 됐다. A씨는 즉시 아이를 병원에 후송하고 아이의 부모에게 연락했지만 스쿨존이라는 이유로 고액의 합의금을 요구했다. 경찰서에서는 이번 사고가 12대 중과실사고로 가해 운전자에게 형사책임에 대한 형사 합의금과 스쿨존 사고에 따른 벌금 등이 부과된다고 설명했다.
도로교통법 개정에 따라 어린이보호구역이 확대되면서 손해보험사들이 운전자보험을 개정하면서 적극 판매에 나서고 있다.
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이날부터 ‘어린이·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령(안)’이 시행됐다. 이번 개정안 주요내용은 어린이 보호 구역 내 교통안전 강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현행 658곳의 어린이 보호구역이 800여곳으로 확대된다. 또한 노인 보호 구역 및 장애인 보호 구역 대상도 늘어난다.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면 해당 도로의 자동차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으며 자동차 주·정차 금지 및 운행 속도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해보험사들은 기존의 운전자보험 보장을 강화해 영업 강화에 나섰다. KB손해보험은 이달 초 운전자보험 상품인 ‘KB운전자보험과 안전하게 사는 이야기’에 기존 보장을 강화하고 신규 보장을 탑재해 새롭게 출시했다.
자동차 사고로 발생 시 진단 주수별 한도에 따라 피해자에게 형사합의금을 지급하는 ‘교통사고처리보장’ 특약은 보장 한도를 기존 1억5000만 원에서 2억원으로 상향해 운전자보험을 통해 형사합의금을 대비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운전하지 않는 고객도 ‘자동차 사고 부상 보장’ 특약을 통해 탑승 중이거나 보행 중 자동차사고에 대해서 부상위로금을 보장받을 수 있다.
삼성화재도 4월 상품 개정을 통해 다이렉트 ‘착’ 운전자보험의 보장을 확대하고 신규 서비스를 추가했다. 우선 운전자보험은 이번 개정을 통해 교통사고처리지원금의 보장 한도를 확대했다. 피보험자가 교통사고 가해자가 된 경우 피해자의 부상 정도에 따라 형사합의금을 보장하는 특약으로 사망 및 중상해는 최대 2억원, 25주 이상 부상은 최대 1억5000만원으로 한도가 늘어났다. 자동차사고 민사소송 법률비용손해 특약도 새로 추가했다.

뿐만 아니라 현대해상, DB손해보험, 흥국화재, 롯데손해보험도 교통사고 처리 지원금 보장 한도를 2억원으로 확대해 운전자보험을 판매 중이다.
앞서 2019년 9월 충남 아산의 한 스쿨존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던 초등학생이 사망한 사고를 계기로 ‘민식이법’이 시행되면서 운전자보험 가입자 수가 급증한 바가 있다. 민식이법으로 스쿨존에서 안전운전 위반으로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를 사망케 하면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고, 다치게 하면 1년 이상 15년 이하 징역이나 5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법이 강화됐다.
손보사 관계자는 “이번 도로교통법 강화에 따라 어린이보호구역이 확대되면 자동차 사고 가능성도 높아져 업계에서는 교통사고 처리 지원금 보장 한도를 높이고 있다”며 “빈번하게 바뀌는 교통법규를 예의 주시하고 법체계에 맞춰 가입한 운전자보험의 보장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viayou@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