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위기’ 지방 저축은행 연체율 최고 8.1%…M&A도 제자리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의 모습. 뉴시스

일부 지방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8%대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기로 저축은행업권의 자산건전성 우려가 고조된 가운데 연체율 급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예금보험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광주전남·전북 지역 저축은행 연체율은 8.1%로 전년(4.3%) 대비 3.8%포인트 올랐다.

 

이어 대구·경북·강원과 대전·충남·충북은 7.8%로, 모두 1년 전(4.2%)보다 연체율이 3.6%포인트 높아졌다. 경기·인천은 7.6%로 전년 대비 4.1%포인트 급등했고, 부산·울산·경남은 6.4%로 같은 기간 2.6%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말 기준 건국 79개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6.55%였는데, 서울(6.0%)과 부산·울산·경남(6.4%)을 제외한 지역 저축은행이 전국 평균 연체율을 웃돌았다.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은 대구·경북·강원의 경우 10.2%까지 치솟았고, 경기·인천(8.8%), 광주·전남·전북(8.5%), 대전·충남·충북(8.4%)도 8%대로 뛰었다.

 

이처럼 지방저축은행의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데는 부동산 관련 대출의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비대면 모바일뱅킹의 발달로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기능이 축소된 가운데 부동산 담보·부동산 PF 대출 취급 비중이 높아졌으며 건설·부동산 경기가 침체하며 전체 연체율도 높아진 것이다.

 

실제 지난해 말 기준 광주·전남·전북 지역 저축은행 7개사의 전체 대출금 규모 대비 부동산 관련 대출(부동산 담보·건설업·PF 대출) 비중은 37.3%였고, 연체율은 9.33%에 달했다. PF 연체율은 13.8%를 기록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경쟁력이 떨어지는 지방·중소형저축은행을 큰 회사로 편입하기 위한 취지로 비수도권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동일 대주주가 최대 4개까지 저축은행을 소유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다. 하지만 지난해 매물로 나온 상상인·상상인플러스·HB·애큐온저축은행도 여전히 새 주인을 찾지 못했다.

 

이는 저축은행이 9년 만에 5000억원대 순손실을 내며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선 데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낮아지면서 인수매력도가 떨어진 탓이란 분석이다. 저축은행업권은 여신 취급 시 고정금리 비중이 높아 금리 하락 시 예대마진이 커지는 구조다.

 

최서진 기자 westjin@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