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 “미국대사대리 불러 조지아 구금 얘기… 초치(항의)였다고 본다”

조현 외교부 장관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뉴시스

 

조현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미국 조지아주에서 일어난 미 이민당국의 한국인 대규모 구금 사태와 관련해 주한 미국대사대리를 초치한 일이 있다고 밝혔다. 초치의 사전적 의미는 ‘부른다’라는 중립적 의미지만, 외교적으로는 항의와 경고등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해 사용하는 용어다.

 

조 장관은 13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조지아 사태를 두고 왜 미국대사를 초치하지 않았느냐는 조국혁신당 김준형 의원 질문에 “초치해서 얘기했다”고 말했다. 현재 주한미국대사관은 대사가 공석이고 조셉 윤 대사대리 체제로 운영 중이다. 앞서 조지아주 사태와 관련해 외교부가 윤 대사대리를 초치했다고 밝힌 적은 없다.

 

조 장관은 김 의원이 ‘처음 듣는 얘기’라고 하자 “제가 랜도 (미국 국무부) 부장관 방한했을 때, 그 전에 대사(대리)를 불러서 이 문제에 대해 얘기하고 그다음에 미국으로 출장을 떠나기 전에도” 얘기했다고 설명했다.

 

미 이민당국의 한국인 317명 구금 사태는 지난달 4일 일어났고, 미국 국무부 2인자인 크리스토퍼 랜도 부장관은 지난달 13∼14일 방한했다. 조 장관은 ‘만나서 얘기하는 것과 초치라는 외교적 행위는 다르다’는 지적에도 “장관이 어떻게 비공식적으로 얘기하겠나. 저는 초치였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주한미대사 초치는 전례를 거의 찾기 어려운 일이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를 둘러싸고 한미 간 불편한 기류가 흐르던 2019년 당시 조세영 외교부 1차관이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를 불러 항의성 면담을 하고 이를 외교부가 공개한 바 있다. 당시 이 면담이 사실상 초치로 해석되자, 외교부가 장문의 해명자료를 내고 “초치라는 단어 사용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히기도 했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