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 돌 맞은 KRX금시장’…“金 시장 표준화·금 선물 활성화로 시장 키워야”

10년 새 거래규모 12.7배 급증…국제 금 시세와 괴리율 0.1~0.2%까지 낮춰
재생금 활용·세제 지원·품질개선 방안 등 금 시장 활성화 위한 의견 오가

21일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석현경 한국거래소 금 시장팀 팀장이 ‘KRX 금시장 10주년 성과 및 향후계획’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오현승 기자

 

정부의 금(金) 양성화 정책에 따라 출범한 KRX금시장이 어느덧 열 돌을 맞았다. KRX금시장은 수입금 관세 면제, 100g짜리 미니금 종목 추가 상장 등 시장활성화 지원 정책에 더해 국제 금융시세와의 괴리율을 크게 낮추며 국내 금 대표가격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향후 KRX금시장과 국내 금 유통시장이 더욱 발전하려면 시장 표준화 및 신뢰성 제고 노력, 투자자 대상 홍보 활동 강화 등의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석현경 한국거래소 금 시장팀 팀장은 21일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진행한 ‘KRX 금시장 10주년 성과 및 향후계획’ 주제 발표에서 “KRX금시장은 실시간 경쟁으로 형성된 단일의 공정가격을 제공하고 유동성 공급을 통해 국제가와의 괴리율을 낮추는 등 공신력 있는 국내 금 대표가격으로 자리매김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KRX 금시장 개장 초기 0.9%까지 벌어졌던 국제 금 시세와의 괴리율은 최근 0.1~0.2% 수준으로 좁혀졌다.

 

석 팀장은 이어 “KRX금시장은 KRX금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상장지수증권(ETN) 등 투자상품을 다양화하고 실물사업자의 원자재 조달 및 안정적 신규 수요창출 채널로 기능하며 실물사업자 성장에도 기여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증권사에 개설된 금 현물 계좌 총수는 2021년 88만5000개에서 지난해 111만1000개까지 늘었고, 금 거래량도 큰 폭 증가해 코로나19 시기(2020~2020년)엔 연간 거래량이 20톤을 넘기도 했다”고 KRX금시장의 그간 성과를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선 국내 금 시장의 바람직한 성장 방안을 둔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우선 RE100등 글로벌 친환경 정책 확대에 발맞춰 재생금 유통을 활성화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송종길 한국금거래소 대표는 “고금(古金)과 산업체를 통해 발생한 스크랩을 재생금으로 활용하면 금광 채굴 시 배출되는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면서 “이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테슬라, 판도라 등 주요 기업들이 재생금 사용을 늘려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송 대표는 금 유통 시장의 표준화 및 신뢰성 제고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그는 “런던은 1987년 LBMA를 개장해 국제 현금 금 시세의 표준으로 자리잡았고, 싱가포르가 설립한 SBMA은 아세안 불리언 시장을 통합하며 글로벌 시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한국은 이제서야 음성 금 시장을 개선할 방향을 논의하고 있고, 여전히 함량 미달금 이슈가 끊이지 않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송 대표는 “부가세 환급 등의 조처가 고금의 음성 거래를 줄이고 금 시장을 양성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21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진행된 'KRX 금시장 10주년 기념식 세미나'에서 김찬영 KB자산운용 본부장, 송종길 한국금거래소 대표, 김지훈 연세대학교 교수, 지현준 한국투자증권 본부장, 김재향 한국거래소 상무(왼쪽부터)가 의견을 나누고 있다. 사진=오현승 기자

 

한국거래소도 금 시장 내 품질 개선의 중요성에 공금했다. 금 품질 인증과 관련해 김재향 한국거래소 상무는 “장외 사업자들이 한국거래소에 여러 가지 건의를 해주고 있다”면서 “지난해부터 유관 기관과 심도있게 논의 중인데, 품질인증이라든지 이런 부분이 원활히 되도록 저희들이 고민해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금 선물 시장이 보다 활성화된다면 유동성공급자(LP) 입장에서도 도움이 될 거란 의견도 나왔다. 지현준 한국투자증권 본부장은 “국내 금 선물시장이 아직 발전되지 않아서 LP 입장에선 해외 선물을 이용해 헤지(hedge)해야 하는데 이에 수반되는 비용이 부담 요인”이라면 “ETF 또한 레버리지, 인버스 등이 활성화된다면 금 현물과 금 선물이 동시에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최근 금 가격이 역사적 신고가를 경신했지만 향후 추가 상승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찬영 KB자산운용 본부장은 “금을 투자하려는 수요가 비트코인으로 일부 이동했다는 건 인정한다”면서도 “최근 실질금리가 높게 유지되는 등 금 가격에 비우호적 상황인데도 (금값이) 견조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데, 실질금리의 반비례하는 금의 가격구조를 살펴보면 향후 금 가격은 희망적”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거래소는 향후 KRX금시장에 대해 네이버 금시세 표출, 뉴미디어 활용 등 홍보 활동과 제도 개선 노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석 팀장은 “규정, 세제, 인센티브 등 제도개선 필요하다면 유관기관, 시장 참여자들과 개선해나갈 것’이라면서 “KRX금시장이 대표 금 현물 시장으로 자리잡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현승 기자 hsoh@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