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유휴·저활용 국유재산 발굴 박차…항공·드론에 위성 활용까지

캠코, 2013년부터 국유일반재산 전담 관리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활용해 조사 활동
국유재산 파악 정밀도 및 정확도 제고
연내 고해상도 국토위성도 활용 예정

지난 5월31일 경남 밀양시 소재 국유지에서 권남주 캠코 사장(사진 오른쪽)이 실태조사에 활용되는 드론 기체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캠코 제공

 

[세계비즈=오현승 기자] 자산관리공사(캠코)가 다양한 첨단기술을 활용해 유휴·저활용 국유재산 발굴 노력을 강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항공이나 드론 영상에 더해 국토위성까지 활용해 국유재산 파악의 정밀도를 높이고 있는 것인데, 캠코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을 통해 국유재산의 가치와 활용도를 극대화한다는 방안이다.

 

 캠코는 지난 1997년부터 기획재정부로부터 국유일반재산의 관리·처분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 중이다. 지난 2013년 6월부터는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던 국유일반재산 72만8610필지를 전담 관리하고 있다.

 

 과거엔 국유재산 조사 과정에서 조사원 의존도가 높았다. 항공 사진을 근거로 조사원들이 현장을 직접 돌아다니며 국유재산 조사 업무를 진행했다. 조사 토지 규모가 광활하거나 조사원의 접근이 힘든 곳은 실태조사가 쉽지 않다는 점이 한계로 거론돼 왔다.

 

 캠코는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핵심 기술을 활용해 국유재산 조사에 나서고 있다. 지난 2017년엔 ‘드론을 활용한 토지 조사 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특허 등록했고, 이를 국유재산 조사 업무에 활용 중이다. 국유재산 조사 때 드론을 활용하면 많은 조사 인력을 직접 현장에 투입하지 않고도 고효율·저예산의 토지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측량용 정밀 GNSS(위성항법시스템)가 탑재된 드론을 국유재산 실태조사에 활용해 보다 정확한 영상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는 게 캠코의 설명이다. 드론은 영상을 촬영하는 순간 GNSS를 통해 위치정보를 수집하는데, 이 때 취득한 위치정보의 오차는 1m 수준이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캠코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관리 중인 전국 60개의 위성기준점 정보와 드론이 취득한 GNSS 위치정보를 비교해 오차를 줄이는 PPK(후처리 이동 측량) 기술을 적용 중이다. PPK 기술을 적용하면 위치정확도를 3~10cm 수준으로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캠코 관계자는 “영상지도 제작 시 드론영상의 위치를 다시 한 번 보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계산된 영상의 정확도가 10cm를 초과하는 경우 드론영상을 재촬영하는 등 정확한 국유재산 조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캠코는 향후 고해상도 위성영상도 국유재산 조사 때 활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캠코는 지난달 국토지리정보원와 ‘국토위성 영상 및 공간정보 협력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국토위성 1호’가 촬영한 위성영상을 제공받아 캠코 국유재산 시스템에 반영하기로 했다. 캠코는 위성영상을 국유재산 관리 및 올해 수행하는 국유재산총조사에 활용하기 위해 다음달 내 시스템 구축을 마치고 오는 3월부터 이를 본격 운용할 계획이다.

 

 권남주 캠코 사장은 “새로운 기술들을 국유재산 시스템에 반영하고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국유재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지난달 6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열린 ‘국토위성 영상 및 공간정보 협력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권남주 캠코 사장(사진 오른쪽)과 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hsoh@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