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에서 ‘딱’ 소리가… 턱관절 장애, 초기에 바로잡아야

[정희원 기자] 턱관절은 우리 몸에서 많이 쓰이는 관절 중 하나다. 말을 할 때도, 밥을 먹을 때도 하루에도 수십번씩 움직인다.

 

이처럼 턱관절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불편함이 느껴도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턱관절은 머리뼈와 아래턱뼈가 맞물려 움직이는 얼굴 부위의 유일한 양측성 관절이다. 턱관절은 자유롭게 입을 벌려 말을 하고 음식물을 저작하는 일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부위에서 턱을 움직일 때 귀 부근에서 ‘딱’ 하는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 입을 벌릴 때 Z자로 움직이며 벌어지거나 안 벌어지는 증상을 턱관절 장애라고 한다.

 

턱관절 장애는 수면 중에 이를 갈거나 꽉 무는 습관,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자주 먹는 습관, 턱을 한쪽으로 괴는 습관 또는 음식을 한쪽으로만 씹는 습관 등 좋지 않은 습관으로 발생하거나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전신질환이나 외상 또는 정서적 요인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턱관절 장애를 방치하면 여기에서 발전하여 만성두통, 어지럼증, 안면비대칭 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증상이 있을 때부터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수원 사랑니톡앤턱치과 이지연 원장은 “턱관절은 단순히 현재의 증상을 치료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턱관절을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켜 같은 증상이 재발하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며 “외상 외에 눈으로 확인되지 않는 심리적 요인까지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환자의 상태를 진단 할 때는 체계적인 검사와 진단이 필요하다. 정밀한 진단이 가능한 장비는 물론, 의료진의 경험과 숙련도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