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원 기자] 선천적으로 눈이 좋지 않거나 생활환경 및 습관, 노화 등으로 시력이 저하될 경우 일상 속 심각한 불편함이 초래되는 것은 당연지사다.
과거에는 안경과 콘택트렌즈 등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의료기술의 발전에 따라 라식, 라섹, 스마일라식 등 시력교정술의 범위가 확대되며 환자들의 갈증을 해소시키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부작용에 대한 걱정은 남아있다.

시력교정술 중 라섹은 각막상피 절삭 후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각막상피를 과도하게 절삭하게 되면 각막강성이 확보되지 않아 각막확장증, 각막혼탁 등과 같은 영구적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일반인보다 비교적 많은 양의 각막을 절삭해야하는 –10디옵터 이상 초고도근시 환자는 단 5㎛ 차이만으로도 수술 후 안전성은 물론 시력의 질도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수술 후 잔여각막두께를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근 국내 의료진이 각막절삭량을 최소화해 잔여각막두께를 확보할 수 있는 ‘400㎛ 라섹’을 개발했다. 미국 FDA(식품의약국)가 권고하는 잔여각막두께 350㎛보다 50㎛ 많은 400㎛ 이상의 잔여각막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으며, 수술 후 안압 상승 및 시력 저하, 원추각막 발생 확률을 확연하게 줄이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노현석 눈에미소안과 원장은 “400 ㎛라섹은 과다한 각막절삭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고, 수술 후 평균 시력 1.3 이상이라는 높은 수치의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다”며 “시력의 질을 충분히 향상시키면서도, 각막절삭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집도 및 임상경험이 풍부하고, 숙련도가 검증된 의료진을 통해 체계적인 사전검사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