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원 기자] 흔히 표현하는 ‘짝눈’은 외적으로 한쪽 눈에만 쌍꺼풀이 있거나 두 눈의 생김새가 다른 경우를 일컫는 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짝눈은 두 눈의 시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도 쓰일 수 있다.
양쪽 눈 시력 차이가 클 경우, 이를 부동시라고 한다. 김선영 힐링안과 원장은 “부동시는 두 눈의 굴절이 2디옵터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상태”라며 “부동시가 발생하면 망막에 맺히는 상의 크기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사물이 겹쳐 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부동시는 발육 이상 등의 선천적인 원인과 안구 변화, 외상, 질병 등 후천적인 원인으로 발병할 수 있다. 부동시가 발병할 경우 두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물체를 바라볼 때 물체의 상이 다르게 보여 판단 장애가 나타나는 증상을 보이게 된다.
김 원장에 따르면 부동시에 노출되면 습관적으로 잘 보이는 한쪽 눈을 주로 사용하게 돼 시력이 점점 저하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두통, 복시현상, 약시 등도 동반될 수 있다.
성장기를 겪고 있는 아동에게서 부동시가 발병할 경우 시력저하와 입체감 저하로 인해 거리 감각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안검진을 통해 부동시를 알아차리고 발견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부동시를 치료하는 방법은 물체의 도움을 받아 교정하는 방법과 수술을 통해 교정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굴절의 차이가 적을 경우 교정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굴절의 차이가 심할 경우 안정피로로 인해 어지럼증, 눈의 피로감, 집중력 저하,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콘택트렌즈는 렌즈 탈착용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일상생활 시 불편함과 탈착용 시 각막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수술적인 방법으로 라식, 라섹 등 시력교정 수술이 있다. 시력교정 수술은 정밀한 검사와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부동시로 인한 시력교정 수술은 수술 후 회복되는 시력이 개인이 원하는 정도의 시력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추후 시력이 저하되는 퇴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시력회복과 퇴행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시력교정 수술 후 일상생활 습관을 개선해 주는 게 중요하다.
김선영 힐링안과 원장은 “일상생활 시 스마트폰, TV,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어둡지 않은 환경을 유지해야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며 “환경과 비슷한 밝기를 유지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이어 “이를 치료하려 시력교정 수술을 받은 뒤에도 정기적인 안검진을 받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