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 합산 시총 127조…올해만 44조 증가

[세계비즈=주형연 기자] 올 들어 인터넷 대장주 네이버와 카카오의 합산 시가총액이 44조원 이상 불어나 120조원을 넘어섰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4일 네이버는 전 거래일보다 3.89% 오른 38만7000원, 카카오는 5.17% 오른 역대 최고가인 14만2500원에 각각 마감했다. 시총은 각각 네이버 63조5699억원, 카카오 63조2560억원으로 코스피 종목 중 3위와 4위에 나란히 올랐다.

 

두 종목은 최근 주가 상승세를 타고 유가증권시장 시총 3·4위권에 안착해 ‘3위 싸움’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지난해 말 유가증권시장 시총 순위(우선주 제외)에서 각각 6위, 9위였던 네이버와 카카오의 시총 순위는 올해 들어 수직 상승했다.

 

현재 시총을 작년 말과 비교하면 네이버는 48조470억원에서 15조5229억원(32.3%) 늘고, 카카오는 34조4460억원에서 28조8139억원(83.6%) 증가했다. 그러면서 네이버와 카카오 합산 시총은 82조4931억원에서 126조8299억원으로 44조3368억원(53.7%)이나 늘어났다.

 

이같은 시총 증가 폭은 연초부터 상승장을 주도한 유가증권시장 시총 상위권 종목 중에서도 돋보이는 성과다.

 

대장주 삼성전자 시총은 작년 말 483조5천524억원에서 지난 14일 480조5675억원으로 오히려 3조원 가량 감소(-0.6%)했다. 같은 기간 다른 대형주의 시총 증가 폭도 SK하이닉스 6조1880억원(7.2%), LG화학 2118억원(0.4%), 삼성바이오로직스 1조7865억원(3.3%), 삼성SDI 7564억원(1.8%) 등으로 네이버와 카카오에 한참 못 미쳤다.

 

네이버와 카카오를 비롯한 인터넷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면에 대표적인 비대면 수혜주로 주목받으며 작년부터 주가가 상승 곡선을 그렸다. 연초 이후 주가가 조정에 들어가기도 했지만, 최근 금리 급등세가 진정되면서 성장주 투자심리가 개선되자 인터넷주가 다시 상승 탄력을 받는 모습이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인터넷 업체들은 주요 수익원인 광고와 커머스 사업이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 효과를 누릴 수 있어 코로나19 회복기에도 견조한 실적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jhy@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