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기홍 대한항공 사장 “구조조정 절대 없다”…노조 설득 총력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이 2일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양사 통합 관련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세계비즈=김진희 기자]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 이후 인위적 구조조정이 없을 것이라고 다시한번 강조했다. 인수 저지를 위해 KCGI 측이 법원에 낸 가처분 신청이 기각되며 고비를 넘겼지만, 여전히 노조가 고용 불안을 이유로 인수에 회의적 반응을 보이자 적극적인 노조 설득에 나선 것이다.

 

 2일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은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직원이 2만8000명 정도인데 95% 이상이 직접 부문(현장) 인력”이라며 “직접 부문 인력은 통합해도 그대로 필요하고, 자연 감소 인원이 1년에 약 1000명이어서 충분히 흡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업은행 회장과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누차 구조조정이 없다고 했다”며 “계약서에도 확약 됐고, 책임 있는 분들이 약속한 것이기 때문에 노조에서도 믿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우 사장은 오히려 인력 감축보단 통합 시너지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은행 회장이 회계법인 추정으로 통합 시너지 효과가 연간 3000억원이라고 언급했다”며 “환승 수요 유치, 항공기 가동률 제고 등 더 많은 시너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은 통합 이후 새로운 브랜드를 출범하기보다 기존의 대한항공 브랜드를 계속 사용할 방침이다. 우 사장은 “제3의 신규 브랜드를 만드는 것은 시간과 비용을 고려하면 적절하지 않다”며 “사용하지 않은 브랜드에 대해서는 활용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향후 인수 일정에 대해서는 대한항공에서 분야별 전문가로 인수위원회를 구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나 그룹사에 대해 실사를 통해 전체적인 회사 상황을 파악하겠다는 것이다.

 

 우 사장은 “1월 6일 (유상증자를 위한) 정관변경 주주총회가 개최될 예정”이라며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해 쉽지 않지만, 주주들이 코로나19 시대 유일하게 대한항공이 살아날 방안임을 이해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내년 1월 14일까지 각국 경쟁 당국에 기업결합 승인(신고서)을 제출할 예정이며, 3월 17일까지는 통합 계획안을 작성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독점 논란에 대해서도 우 사장은 “한국 시장에서 일부 장거리 노선을 제외하고는 독점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며 “해외에서는 한국처럼 시장 점유율이 높은 노선이 많지 않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자매사·자회사인 진에어, 에어서울, 에어부산 등 저비용항공사(LCC)가 통합되더라도 대한항공과 별도 운영되기 때문에 독과점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진에어와 에어서울은 인천을 중심으로, 에어부산은 부산을 중심으로 운영 중이며, 부산에 LCC 본사를 둘지는 지역주민, 기관, 직원과 협의해서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일각에서 거론되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MRO(정비) 조직을 분리해 별도 법인을 만드는 방안에 대해서는 “대한항공은 기체 수리에 상당한 능력을 보유했고, 별도 법인은 생각하지 않는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purpl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